일제강점기인 1938년 경성에서 외부와 단절된 한 여학생 기숙학교. 어릴 때부터 몸이 약했던 주란(박보영)이 계모 손에 이끌려 전학을 온다.

낯설고 고립된 학교에서 주눅이 든 주란은 좀처럼 적응하지 못한다. 그런 주란에게 다가와 주는 사람은 오직 급장 연덕(박소담)과 교장(엄지원) 뿐이다.

기숙학교는 매일 여학생들에게 정체를 알 수 없는 약을 먹이고, 학생들은 하나 둘 이상 증세를 보이다 흔적도 없이 사라진다. 교장은 아무 일 없었다는 듯 우수학생 선발에만 힘쓸 뿐이다.

'경성학교: 사라진 소녀들'은 과거 일본의 만행을 모티브로 일제강점기 경성의 한 여학생 기숙학교에서 실제로 있었을 법한 이야기를 그린 미스터리 시대극이다.

여주인공 주란이 전학을 오고, 동급생들로부터 괴롭힘을 당하고, 연덕과 가까워지는 과정을 그린 전반부는 다소 지루하다.

일제강점기라는 시대 상황과 학교라는 한정된 공간이 만들어내는 설정을 바탕으로 조선인의 정체성을 가질 수 없었던 당시 여학생들의 과도기적 감성을 부각시키려는 의도가 엿보인다.

고증자료에 상상력을 덧대 재현한 1938년 경성 기숙학교와 배우들의 의상과 분장은 시대적인 배경을 감각적으로 살려냈다. 캐릭터들의 성격과 서늘하고 비밀스러운 영화의 분위기와도 잘 맞아떨어진다.

사건의 실체에 대한 궁금증과 긴장감 속에서 박보영·엄지원·박소담 세 배우도 좋은 연기를 보여준다.

다만, 극의 연출과 이야기 전개 측면에서 미진한 독창성과 완성도는 아쉬운 대목이다.

소소한 감수성과 동성애적 코드를 비롯해 이번 영화는 여학생들의 세계를 배경으로 한 이전 공포물이나 미스터리 스릴러와 뚜렷한 차별성을 찾기 어렵다.

사건의 실체에 근접하면서 비밀이 풀리는 클라이맥스 구성은 대부분 익숙하다. 관객이 공포를 느끼는 장면도 '여고괴담' 시리즈나 '주온'에서 보인 시·청각 효과가 주를 이룬다.

미스터리 스릴러라는 장르 특성상 관객에게 설득력을 얻으려면 더욱 정교한 연출과 논리적이면서 기발한 이야기 전개를 위한 치열한 고민이 필요했다.

미스터리라는 큰 그릇에 다양한 요소들을 담으려는 시도는 좋았으나 유기적이고 일관성 있게 엮어내지는 못했다.

극 후반 초월적인 힘을 구사하는 주란의 모습은 영화에 몰입을 방해하는 요소다. 시대극과 미스터리 스릴러를 표방하다가 막판에 히어로물로 전환한 것 같은 느낌이 든다.

'천하장사 마돈나'로 제27회 청룡영화상 신인감독상과 각본상, 제5회 대한민국 영화대상 신인감독상을 받은 이해영 감독이 각본과 연출을 맡은 세 번째 영화다.

6월 18일 개봉. 15세 이상 관람가. 99분.